지역불균형
-
정치는 왜 항상 수도권만 신경 쓸까?지역불균형 2025. 6. 15. 22:24
수도권 정치 집중 vs 지방 소외의 악순환수도권 인구가 많으니까 정치도 수도권 위주로 가는 게 당연한 걸까요? 그렇게 "당연하다"는 생각이,👉 어느새 지방을 정치에서 배제하는 구조로 굳어졌습니다. 지금의 정치는 수도권만 바라보는 사이,👉 지방은 인구도, 정책도, 예산도 잃어가고 있습니다.🧭 의석은 수도권으로, 정치의 무게도 수도권으로인구 기준 배분 → 수도권 인구 증가 → 의석수 증가선거제도와 정당 전략 → 수도권 중심공약, 예산, 정책 방향 → 수도권 표심에 맞춤📌 국회 의석수와 정치의 중심축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구조는지방을 갈수록 더 외곽으로 밀어냅니다.🧩 수도권이 정치력을 독점하면?정치력의 독점은 단순히 법안을 많이 통과시키는 문제가 아닙니다.어떤 이슈가 중요한가?어떤 지역의 문제가 우선순..
-
같은 룰로 시작했는데, 왜 항상 지는 지역이 있을까?지역불균형 2025. 6. 15. 22:15
기회의 균등 vs. 결과의 균등“수도권이나 지방이나 똑같은 조건에서 경쟁하면 공정한 거 아닌가요?”하지만 정말 같은 출발선이면 공정한 결과가 나올까요?🟡 기회의 균등만으론,🔴 정치적 결과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. 정치는 단순히 기회만 같으면 되는 게임이 아닙니다.대표성과 발언권이 누구에게 어떻게 분배되느냐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.🧭 기회의 균등은 왜 중요한가?민주주의는 기회의 평등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.1인 1표의 원칙같은 조건의 선거 절차후보자에게 동등한 출마 기회이 모든 요소는 겉으로 보기엔 아주 공정해 보입니다.✅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구조니까요.하지만…🧩 2. 그런데 왜 결과는 불평등할까?현실은 다릅니다.같은 룰로 시작했지만, 누군가는 계속 지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,수도권: ..
-
인구 기준 배분 vs 지역 균형 배분지역불균형 2025. 6. 15. 21:55
“많이 사는 곳이 중요할까? 모든 곳이 중요해야 할까?”✅ 정치란 결국 "누가 누구를 대표하느냐"의 문제입니다.그런데, 국회의원 의석수를 인구 수로만 정하는 것이 과연 정답일까요?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나라마다 다릅니다.👉 한국은 인구 기준을,👉 미국은 지역 균형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습니다. 그 결과, 정치의 무게 중심이 어디로 향하는지가 달라집니다.🇺🇸 미국은 왜 ‘주마다 상원의원 2명’일까?미국 상원은 아주 단순한 원칙을 따릅니다.모든 주에 똑같이, 2명씩 상원의원을 배정하죠.예를 들어,와이오밍 (인구 약 60만)캘리포니아 (인구 약 4천만)➡️ 둘 다 상원 의석수는 2석입니다.📌 얼핏 보면 불공평해 보일 수 있지만,작은 주의 정치적 존재감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입니다.👉 인구 비례는 하원..